누군가는 죽고 있다
18명, 7명, 12명 16명, 16명, 16명, 14명…. 최근 1주일간의 코로나19 사망자 수다. 매일 코로나19에 걸려 목숨을 잃는 사람들이 있지만 어느 순간부터 사망자 수는 수치로만 읽고 마는 것이 사실이다. 보다 정확하게는 확진자 수, 위중증 환자 수 다음에 배치되는 숫자다. 이런 무덤덤한 반응에는 ‘코로나19에 감염돼 사망한 것이 아니라 사망할 사람이 코로나19에 감염된 것’이라는 인식도 영향을 미쳤을 것이다.
기시감이 든다. 2015년 국내에 메르스가 확산됐을 때도 어느 순간 사망자 수는 수치로 기억됐다. 당시 메르스 사태를 보도했던 기자의 상당수는 확진자와 사망자를 A 씨, B 씨 혹은 ㄱ 씨, ㄴ 씨 등으로 칭했다. 그러다 알파벳 수, 한글 자음 수가 부족할 수도 있다는 판단에 확진자·사망자 앞에 1번, 2번 등 숫자를 붙였다. 확진자의 동선을 파악해 알리고 당국의 허점을 꼬집느라 언제부터인가는 수치는 숫자로만 읽었을 뿐 개개인의 죽음을 깊이 헤아리지 못했다. 현장 출입 기자 중 일부는 이런 생각에 정신과 치료를 받기도 했다.
2015년 5월 첫 환자가 발생해 그해 11월까지 186명이 확진되고 39명이 사망한 메르스 사태. 2020년 1월 확진자가 나온 후 이날까지 1876만 1757명이 확진 판정을 받고 2만 4742명이 목숨을 잃은 코로나19 사태. 두 사태 모두 우리나라를 충격과 공포에 몰아넣었지만 충격의 정도와 공포의 기간은 서로 다르다. 한 가지 분명한 사실은 코로나19 사태의 기간이 훨씬 길다는 것이다. 시간이 흐를수록 점점 더 사태에 대해 무뎌지는 것 역시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다. 실내 마스크 미착용자 및 단체 회식 증가 등이 이를 방증한다.
이런 무뎌짐이 무서운 것은 바로 개인 방역 수칙 준수 의지를 갉아먹기 때문이다. 더욱이 윤석열 정부는 최근 개인 방역 수칙 준수를 근간으로 하는 ‘자율책임 방역’을 내세웠다. 현시점에서 사회적 거리 두기로 코로나19 감염을 차단하는 데는 치러야 할 사회·경제적 비용이 너무 크다는 판단에서다. 개인 방역 수칙 준수 의지가 무뎌져 힘을 잃을 경우 자율책임 방역도 무너질 수밖에 없다.
올해 2월 별세한 ‘시대의 지성’ 이어령 초대 문화부 장관은 지난해 10월 출간된 대담집 ‘이어령의 마지막 수업’에서 전쟁터의 전사자와 관련해 “‘100만 명이 죽었다’고 하면 그건 통계”라며 “100만 명이 죽어도 그건 다 한 사람의 사적 죽음이다. 그걸 잊으면 안 된다"라고 했다. 코로나19 마스크 착용과 관련해서는 “스웨덴은 일절 관여하지 않는다. 국가에서 통제하지 않는다"라며 “그러니까 다 쓰고 지킨다"라는 말을 남겼다.
코로나19를 경험하면서 세계 각국이 대처하는 것을 보면서 과연 인권이 무엇인지 자유가 무엇인지 확실히 선진국은 합리적이고 과학적인 대처가 다르고 우선 사람이 먼저구나 하는 생각을 하게 되네요~ 우리나라처럼 무조건 못하게 하고 아무 근거 없이 일부 계층이 손해를 감수해야 하는 것은 선진국의 코로나 대처에는 처음부터 조건에 없다는 것을 그리고 우리의 대처가 틀렸다는 것을 불과 1년 후에 혹독한 대가를 치르며 우리나라가 겪은 걸 보며 나라의 정책을 책임지는 분들의 업무능력도 선진화되어야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정우미래연구소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정보마당 > 사회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갑이 필요 없는 세상이 오네요~~~ (1) | 2022.07.19 |
---|---|
코로나 이젠 겁나지 않아~ 국산 백신 탄생 (0) | 2022.07.19 |
돈으로 평가 받는 사회 (0) | 2022.07.19 |
패트병재활용 운동화 리젠 스니커즈 출시 (0) | 2022.07.17 |
부모가 돈으로 평가 받는 세상 휴~~~한숨만! (1) | 2022.07.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