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리학공부/교육자료

오행이란? 모든것의 기본이다.

정우미래연구소 2022. 6. 15. 12:25
반응형
SMALL

 오행이란

 

 

목()ㆍ화()ㆍ토()ㆍ금()ㆍ수(). 이 5종에 의해서 자연현상이나 인사현상의 일체를 해석해서 설명하려는 사상을 오행설이라고 하며, 중국 고대에 성립하였다.

이들 5종이 특별히 선택된 이유를, 고전 주석가는 하늘에서는 오기()가 유행(, 순환)하고, 땅에서는 백성이 행용(, 사용)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하고 있다.

오기가 유행한다고 하면 우주를 구성하는 기본적인 5원소로 생각되는데, 백성이 행용한다고 하면 자연계에 통상적으로 발견되며, 일상생활에 필수한 기본적 물질을 가리키는 것으로, 오행설 성립의 초기에는 후자의 의미가 주였다고 생각된다.

『서경』의 감서편과 홍범편 오행이라는 이름이 나타나며, 특히 홍범편에서는 한나라의 우왕이 하늘에서 받았다는 9종류의 천지의 대법, 즉 <홍범구주>의 첫 번째로 오행을 들었으며, 각 오행의 성질을 수()는 윤하(, 물질을 윤택하게 해서 낮게 흐른다), 화()는 염상(, 타서 위로 올라간다), 목()은 곡직(, 휘거나 똑바로 된다), 금()은 종혁(, 자유롭게 변형한다), 토()는 가색(, 파종과 수확)으로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홍범편이 성립된 시대를 확정하는 것은 어려우며,

반응형

오행설의 창시자로서는 전국시대의 제()의 사상가 추연()이 생각된다.
오덕종시설()이라고 하는 추연의 오행설에서는 일대의 제왕은 오행의 어느 한 가지의 덕을 갖추며, 왕조는 오덕의 순서에 따라서 교대한다고 주장하였다.

그리고 오행은 화→수→토→목→금의 순서하에, 각각 전자에 이겨서 나타난다고 생각하며, 상극설(또는 상승설())이라고 하였는데, 그후 오행이 목→화→토→금→수의 순서하에 차례차례로 생성한다고 생각하는 상생설이 탄생하였다. 이와 같이 원래 정치사상으로서 발생했다고 생각되는 오행설은 마침내 왕조의 교대 이외의 여러 가지 자연현상이나 인사형상의 설명에 응용하게 되어, 오행의 배당이 행하여지게 되었다. 즉, 모든 자연현상이나 인사현상은 범주마다 5가지씩 정리되고, 각각이 오행의 어딘가에 귀속한다고 본 것이다.


오행의 배당에 관해서는 『여씨춘추』(기원전 3세기) 등에 그 원초적인 형태가, 그리고 『백호통()』(1세기) 등에 의해서 더 한층 정리된 형태가 나타났다. 또한 한 초의 복생의 『홍범오행전』에는 『서경』 홍범편에 보이는 오사 ㅡ 모(용모)ㆍ말ㆍ시(눈의 작용)ㆍ청(귀의 작용)ㆍ사(사고)ㅡ와 서징() ㅡ 비ㆍ창(가뭄)ㆍ오(더위)ㆍ추위ㆍ바람 ㅡ 이 오행과 관련되어서 언급되며, 또한 동중서의 『춘추번로』에는 상극설과 상생설이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해서 상세하게 된 오행의 이론은 음양 이론과 함께 한대 사상의 일대 조류를 형성하였다. 동중서를 좋은 예로서 유가사상도 오행의 이론을 대폭으로 도입하면서 면목을 일신하고, 또한 천문학이나 의학 등에 큰 영향을 미쳤다.

또한 기본적인 5가지의 도덕을 오행이라고 하기도 하는데 그 경우, 인()ㆍ의()ㆍ예()ㆍ지()ㆍ신()의 오상이 해당되는 것이 보통인데, 1973년에 마왕퇴로부터 발견된 면서의 하나, 『면서오행편』에서는 인ㆍ의ㆍ예ㆍ지ㆍ성()이 오행으로 불렸다.

 

명리학에서는 나의 사주팔자를  목화토금수 로  적용하여

음양의 기운과  24절기에  대입하여  나의  운명을 살펴보는 학문입니다.

나를 알고 남을알면 지피지기라  나의 사주를 알고 세상을 살면

어디에서는 승리하는 행복한 인생을 살수 있습니다.

 

남산골   정우

 

 

728x90
반응형
SM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