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마당/사회경제

대한민국이 사라져 간다

정우미래연구소 2022. 9. 6. 16:41
반응형
SMALL

소멸되는 한국?..50년뒤 인구 3800만명, 노인이 절반

 

[세계서 가장 빠르게 늙어가는 韓]

2070년 세계인구 103억명으로 증가

韓은 5200만명서 27% 급감 예상

65세 이상 고령인구 비중 46.4%

15~64세는 24.9%P 줄어 46.1%





2070년 총인구에서 생산가능인구(15~64세)가 차지하는 비중이 46.1%에 그친다는 전망이 나왔다. 경제활동에 참가할 수 있는 인구가 전체 인구의 절반도 안 된다는 의미다. 고령인구(65세 이상) 비중은 46.4%로 불어나 전 세계에서 유일하게 고령인구가 생산가능인구보다 많은 기형적인 인구구조가 나타나게 된다. 특히 2070년 세계 인구가 103억 명으로 올해(79억 7000만 명) 대비 약 29% 늘어날 동안 우리 인구는 5200만 명에서 3800만 명으로 27% 줄어드는 것으로 예상됐다.

5일 통계청이 발표한 ‘세계와 한국의 인구 현황 및 전망’에 따르면 총인구에서 생산가능인구가 차지하는 비중은 올해 71.0%에서 2070년 46.1%로 급감한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주요 20개국(G20) 등 주요국 중 최저치다. 생산가능인구는 경제활동에 참가할 수 있는 인구로 OECD는 15~64세로 정의한다.

주요국과 비교하면 생산가능인구가 줄어드는 속도도 가파르다. 세계 인구에서 생산가능인구가 차지하는 비중은 같은 기간 64.9%에서 61.4%로 단 3.5%포인트 줄어드는 데 그친다. 대표적인 초고령 국가로 꼽히는 일본과 이탈리아의 생산가능인구 비중도 각각 8.1%포인트, 11.7%포인트 감소할 뿐이다. 한국(24.9%포인트 감소)과 비교하면 현저히 작다.

 


생산가능인구 감소는 국가 경제 성장에 부담이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4월 “생산가능인구 감소는 잠재성장률을 하락시키는 등 우리 경제의 가장 큰 리스크 요인이 될 수 있다”고 우려한 바 있다. 경제성장의 주요 요소 중 하나인 노동의 절대적 크기가 감소하니 국가 잠재성장률도 낮아질 수밖에 없다는 의미다.

빠른 속도의 저출산·고령화가 그 원인으로 꼽힌다. 지난해 한국의 합계출산율(여성 1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평균 출생아 수)은 0.81명으로 홍콩(0.75명)을 제외하면 전 세계 중 가장 낮을 것으로 추정된다. 물론 전 세계 합계출산율도 2000년 2.73명에서 지난해 2.32명(추정)으로 줄어드는 등 점점 낮아지고 있다. 다만 한국의 경우 그 속도가 매우 빠르다. 1970년 4.53명으로 전 세계에서 89번째로 합계출산율이 낮았던 한국은 2000년 1.48명으로 32번째, 지난해는 0.81명으로 두 번째로 낮은 국가로 분류됐다. 의료 기술 발달로 기대수명은 2000년 76.0세에서 2020년 83.5세로 길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세계에서 여섯 번째로 길다.

자연스레 전체 인구에서 고령인구(65세 이상)가 차지하는 비중이 커질 수밖에 없다. 올해 17.5%인 고령인구 비중은 2070년 46.4%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이렇게 되면 2070년에는 전 세계에서 유일하게 총인구 대비 고령인구 비중이 생산가능인구 비중을 역전하게 된다.

기형적인 인구구조에 대한 경고가 잇따르지만 눈에 띄는 인구 대책은 나오지 않는 상황이다. 윤석열 정부는 6월 말 인구위기대응 태스크포스(TF)를 출범하며 첫 회의를 개최했지만 이후 추가로 공개 회의는 열지 않았다. 또한 6월 발표한 경제정책방향을 통해 경제활동인구 확충, 저출산 대응, 축소사회 및 고령사회 대비 등 분야별 인구 대책을 7월 이후 순차적으로 제시하겠다고 예고했지만 구체적인 대책은 여전히 나오지 않았다.

이에 대해 정부 관계자는 “인구 대책 방향을 재정비하고 구체화하는 과정에서 논의가 길어지고 있다”며 “향후 대책 발표 시기를 콕 집어 말하기는 어렵다”고 밝혔다.

 


나의 초등학교 시절을 회상하면 빽빽한 콩나물 교실이 생각납니다.

한반에 7~80명을 모아 놓고 선생님 한분이 가르치셨으니 제대로된 수업이

됫을리 없었겠죠  그래도 함께 떠들고 장난치고 하던 친구들도 모두 자신의 자리에서 자리잡고

중년을 보내고 있네요

그시절 우리에게는 성적보다는 친구와의 우정이 중요했고  스승님 그림자도 밟으면 안되고

부모님께 효도하고 어른들께 예의있게 행동하라는 가르침이 많았지요

지금처럼 성적이 모든것이 아닌 그래도 인간사는 맛이 있던 세상이었습니다.

오히려 40여년 후인 지금 우리 사회는 이상하게 커버린 공룡같다 생각됩니다.

위아래가 바뀌고 가정보다는 자기 개발이 우선이고 자식보다는 독립적인 생활을 하는

왜 지구상에서 가장 빨리 소멸되는 대한민국이 되어가는 걸까요?

무언가 잘못되어도 많이 잘못된것 같습니다.

가난하고 조금 몰라도 인간사는 정이 흐르던 세상이 저는 더 좋았던것 같네요

정우생각.

728x90
반응형
SM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