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SMALL
학식 외면하는 대학생들 "도시락이 혜자"
도시락 시장 1조 시대
"교내 식당도 한끼에 7000원
도시락이 맛·가격 뛰어나"
GS25 도시락 매출 40% 급증
삼각김밥·샌드위치도 불티
"교내 식당도 한끼에 7000원
도시락이 맛·가격 뛰어나"
GS25 도시락 매출 40% 급증
삼각김밥·샌드위치도 불티

서울시내 대학교에 재학 중인 B씨는 자칭 '편의점 도시락 마니아'다. 그는 "군 제대 이후 학교 식당을 주로 찾았지만 학식 가격이 7000원대로 오르면서 편의점에서 주로 점심을 해결하고 있다"고 했다.
국내 도시락 시장을 흔들어 깨운 것은 코로나19 팬데믹이었다. 거리 두기 강화로 외식이 힘들어지고, 배달 음식은 주문이 밀려 제시간에 받기 힘들었던 탓에 도시락으로 점심 식사를 해결하는 직장인이 크게 늘면서 '도시락 특수'가 본격화됐다.
도시락의 인기는 거리 두기가 해제된 이후에도 여전하다. 외식물가가 가파르게 오른 탓이다. 업계 관계자는 "도시락은 물론 삼각김밥, 김밥, 샌드위치 등 간편식 매출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17일 편의점 업계에 따르면 GS25 도시락 매출은 지난해에 전년 대비 41% 급증했고, CU는 25% 증가했다. 세븐일레븐과 이마트24 매출도 지난해 각각 전년 대비 35%, 28% 늘어났다. 올해에도 도시락 매출 상승세는 이어지고 있다. 올해 1월과 2월(15일 기준) 매출의 경우 CU와 GS25는 각각 전년 대비 22%, 23% 증가했고 세븐일레븐은 35%, 이마트24는 24% 늘어난 것으로 확인됐다. 이커머스에서도 도시락 판매가 늘어나고 있다. 최근 컬리에 따르면 도시락 부문은 지난해 판매량이 전년 대비 21% 증가했고, 그중 당일 생산·배송해 1~2일 내로 먹어야 하는 냉장 도시락 판매량은 같은 기간 46% 증가했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외식물가 상승률은 7.7%로 10.3%를 기록했던 1992년 이후 30년 만에 가장 높았다. 지난해 6월(8.0%) 이후 8개월째 외환위기 당시 수준(1998년 11월 7.4%)을 웃돌았다. 전기·가스 등 공공요금 상승세도 외식물가를 자극하고 있다. 1인 가구가 늘어나는 것도 도시락 판매량을 끌어올리는 요인이다. 통계청에 따르면 2021년 1인 가구는 716만6000가구로 전체의 33.4%를 차지했다.
업계에서는 '도시락 전성시대'가 본격화될 것으로 전망한다. 불황 장기화로 가계 소비 여력이 줄어들고, 1인 가구와 고령자 가구가 늘어나면서 집에서 음식을 만들어 먹는 것이 어려워짐에 따라 도시락을 사서 집에서 먹는 트렌드가 확산된 일본의 전철을 밟을 것이라는 예상도 나온다.
[정슬기 기자 / 홍성용 기자 / 홍혜진 기자]
728x90
반응형
SMALL
'정보마당 > 사회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하늘을 나는 자전거 "드론 자전거" (2) | 2023.04.29 |
---|---|
"햄버거 " 치킨보다 4배성장 (1) | 2023.04.17 |
인도 코끼리가 달리기 시작한다 인도를 주목하자. (1) | 2023.01.07 |
부자 되고 싶으세요? 돈 버는 색은 따로있습니다. (0) | 2022.11.12 |
부동산 침체기 목동을 주목하세요 (1) | 2022.11.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