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SMALL

환경 2

쇠똥구리도 "내집 마련이 중요하네요"

쇠똥구리가 ‘춤’을 추는 이유 [서광원의 자연과 삶]〈74〉 서광원 인간자연생명력연구소장 서광원 인간자연생명력연구소장 왜 하필 이런 데서 살까? 어린 시절, 이런 생각으로 소들이 큼지막하게 떨어뜨리고 간 소똥 안에서 부지런히 움직이던 쇠똥구리를 한참씩 구경하곤 했다. “지저분한 걸 뭘 그리 보느냐”고 혼나기도 했지만 진짜 신기했다. 자연의 생존 전략을 좀 더 깊게 들여다보고 나서야, 이런 생각이 우리만의 기준일 뿐, 자연에서는 별일 아니라는 걸 알았지만 말이다. 마치 전원생활을 즐기는 이들이 서울 강남 빌딩 숲에 사는 사람들을 보며 ‘어떻게 저런 데서 살까’ 하는 것처럼 살아가는 방법이 다른 것뿐이다. 그런데 사실 이들의 신기한 능력은 따로 있다. 우리는 모든 쇠똥구리가 경단이라는 똥덩어리를 만들어 굴리..

카테고리 없음 2023.07.06

할머니 느티나무님, 건강하신가요

똑똑!… 할머니 느티나무님, 건강하신가요 서울시 지정보호수 204그루 정밀진단 현장 가보니 3일 오전 서울 송파구 문정1동 주민센터 인근 할머니 느티나무 앞. 다산나무병원의 나무치료사가 금속 망치로 느티나무 표면에 붙은 센서를 2, 3회 살짝 두드렸다. 6.5m 둘레 나무에 30cm 간격으로 둘러진 22개의 센서를 10분에 걸쳐 모두 두드리자 단층촬영기와 연결된 모니터에 나무 형태와 내부 상태가 천천히 나타났다. 망치 움직임으로 전달되는 음파의 시간 차이에 따라 색깔이 다르게 나타났다. 사람으로 치면 일종의 컴퓨터단층촬영(CT)을 진행한 것이다. 느티나무 중심부에 가까울수록 푸른색이 짙게 보였다. 갈색을 띠면 나무의 밀도가 높고, 푸른색을 띠면 밀도가 낮아 속이 비어 있다는 뜻이라고 한다. 이규범 다산나..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