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마당/주식경제

동박대전 시작되나? 전기차 시대에 필수 소재 동박

정우미래연구소 2022. 7. 10. 16:03
반응형
SMALL

SKC, 유럽 최대 공장 착공…'동박 대전' 가열

9000억 들여 폴란드 생산기지 구축
2024년 하반기 年 5만 톤 본격 양산
두다 대통령도 직접 감사영상 보내
롯데도 일진머티리얼즈 인수전 참전
솔루스첨단소재는 해외공장 증설 등
시장 매년 40% 성장… 설비경쟁 가속

 

 

sk 넥실리스 동박공장 착공식  폴란드대통령의 영상메시지

SK그룹의 화학·소재 기업 SKC(011790)가 폴란드에서 유럽 최대 규모의 동박 공장 건설에 착수했다. 최근 전기자동차 시장의 급격한 성장으로 2차 전지 필수 소재인 동박 부족 현상이 심화될 것이라고 예고되면서 이 소재를 둘러싼 기업들의 경쟁도 한층 치열해진 모양새다.

 

SKC는 100% 투자사인 SK넥실리스가 7일(현지 시간) 폴란드 스탈로바볼라시 E 모빌리티 산업단지에서 동박 생산 공장 착공식을 열었다고 8일 밝혔다. SK넥실리스는 2024년 상반기까지 총 9000억 원을 투자해 연산 5만 톤 규모의 생산 시설을 짓기로 했다. 이미 운영 중이거나 건설하기로 계획한 현지 동박 공장 가운데 가장 큰 규모다. 본격적인 양산은 2024년 하반기에 시작할 예정이다.



 

이날 착공식에는 야체크 사신 폴란드 부총리를 비롯해 박원철 SKC 사장, 이재홍 SK넥실리스 대표 등이 참석했다. 안제이 두다 폴란드 대통령은 영상 메시지를 통해 “SK넥실리스의 혁신 기술 사업이 폴란드에서 진행된다는 점이 굉장히 기쁘다”며 “이번 사업을 통해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하기를 희망한다”라고 말했다.

 

SK넥실리스는 2 차 전지용 동박 분야의 명실상부한 글로벌 1위 업체다. SK넥실리스는 지난해 7월에도 말레이시아 코타키나발루에 5만 톤 규모의 생산 시설을 짓기 시작했다. 북미에서는 연산 5만 톤 규모의 동박 공장 건설을 목표로 후보 부지를 검토하고 있다. 전북 정읍에서도 공장을 6곳이나 가동한다. 폴란드·북미 공장이 양산을 개시하면 SK넥 실리 스는 아시아·북미·유럽으로 이어지는 글로벌 동박 생산 체계를 구축하게 된다. SKC 관계자는 “2025년까지 글로벌 생산 규모를 연산 25만 톤으로 확대할 것”이라며 “지속적인 연구개발(R&D) 투자로 고도의 기술력을 확보해 글로벌 선두 기업으로 자리매김하겠다”라고 말했다.

 

SK넥실리스가 이처럼 공격적으로 동박 생산 능력을 확장하는 데는 한국과 중국·일본의 경쟁사들을 물량으로 압도해 시장 주도권을 확실히 쥐겠다는 포석이 깔려 있다. 머리카락 두께 15분의 1 정도의 얇은 구리 막인 동박은 배터리의 핵심 소재인 음극재 원료로 쓰인다. 두께는 얇지만 뛰어난 강도를 유지할 수 있는 고도의 기술력을 요구한다. 진입 장벽도 그만큼 높아 동박을 안정적으로 생산할 수 있는 업체는 전 세계에서 손에 꼽을 정도다. 머지않아 동박이 ‘없어서 못 파는’ 상황이 벌어질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는 이유다. 실제로 최근 에너지 시장조사 업체 SNE리서치는 세계 전기차 배터리용 동박 수요가 연평균 40%가량씩 성장해 2021년 26만 5000톤에서 2025년 74만 8000톤 이상으로 늘어날 것이라고 전망했다.

 

동박 시장이 빠른 성장 속도를 보이면서 다른 경쟁사들도 잰걸음을 걷고 있다. 특히 국내 2위 동박 제조사 일진머티리얼즈 인수전에 유수 대기업들의 이름이 잇따라 거론된 점은 이를 방증하는 대표 사례로 꼽힌다.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롯데케미칼(011170)은 최근 일진머티리얼즈 매각 예비 입찰에 참여했다. 롯데가 2030년까지 배터리 소재 사업에만 4조 원을 투자하겠다고 밝힌 만큼 동박 사업 인수가 기존 소재 사업과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다는 것이 업계의 시각이다.

2022.06.28 - [정우명리연구소] - 추락하는 국민주 개미들 무덤이되나?

IB 업계에서는 LG화학(051910)도 이번 인수전에 전격적으로 뛰어들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보고 있다. 포스코 역시 한때 일진머티리얼즈 인수를 검토한 것으로 알려졌다. 글로벌 시장점유율 9위인 솔루스첨단소재는 이달 캐나다에 공장을 착공하고 헝가리에서는 기존 생산 시설을 늘린다. 김현태 BNK투자증권 연구원은 “동박 수요는 지속적으로 많고 수급은 빠듯한 상황”이라며 "안정적인 자금 조달로 적기 대응만 한다면 앞으로 3~4년 고성장은 담보됐다고 할 수 있다”라고 설명했다.

 

이제 자동차도 휘발유나 정유를 넣어 타던 시대는 서서히 끝나는 것 같습니다.

전기차 시대가 도래하며 각종 전기차에 필수로 들어가는 동박의 수요는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고 있네요

매년 40프로의 성장을 하는 동박산업이라하니 관련주 잘 찾아서 투자하시면 좋은 결과가 나올 것 같습니다.

길게 보고 장기투자하셔서 대박 나시기를 바랍니다.

남산골  

http://iryan.kr/t61slr5qk3

 

텐핑, 광고주의 목표와 마케터의 꿈을 실현시키다

[텐핑 탐방기] 여러분이 회사를 경영하거나 혹은 회사의 마케터라면 제휴 마케팅이라는 마케팅 기법을 한 번쯤은 들어 보셨을 것입니다. 그렇다면, 광고주는 왜 제휴 마케팅을 하는 것일까요?

iryan.kr

2022.06.30 - [정보마당/주식경제] - mz 세대 젊은 부자들의 투자법 어리다고 깔보지 말아요~~

728x90
반응형
SMALL